カラスの“高級”マイホーム作りに奈良のシカも迷惑顔です。
Crows build nests to harass deer in Nara! After trying so hard… (2023/03/16)
328 viewカラスの“高級”マイホーム作りに奈良のシカも迷惑顔です。
1羽のカラスがトコトコとシカに近付いてくると、突然お尻の辺りをつつき始めました。
よく見ると、ふかふかの白い毛を思いっきり、音をたてて引き抜いています。
シカは毎年、春先になると冬毛が抜け落ちます。
カラスはその暖かい毛を頂いて“高級マイホーム”を作ろうとしているわけなのですが、それにしても“遠慮”というものが全くありません。
シカの顔色をうかがって「もっと頂いても大丈夫そうだな」と踏んだようです。
そのしつこさにシカはついに逃げ出してしまいました。
ひと仕事終えたカラスは“収穫”した毛の束をほぐし、くちばしいっぱいにくわえて飛び立つ…。
かと思いきや、何が不満だったのでしょうか、せっかく集めた毛を捨ててしまい、シカは“つつかれ損”となってしまいました。
カラスの“高級”マイホーム作りに奈良のシカも迷惑顔です。
迷惑
(다른 사람으로 말미암아 겪게 되는) 폐. 귀찮음. 성가심. 불쾌함. 괴로움. めい-わ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めい-わくげ 【형용동사】 めい-わく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高級
동업자 등이 협정하여 휴업함. 또는 그 휴일; 『천문』 광구. 빛을 발하고 있는 태양의 표면. 〔참고〕 육안으로 봐서 하얗게 빛나는 부분; 『문어』 호구. 좋은 배필. 특히, 좋은 아내; 호구. (야구 등에서) 치기 좋거나 받기 좋은 공; 『문어』 고구. 깊이 생각하여 연구함; 공구. 학문·기술 등을 끝까지 깊이 연구함; 『문어』 항구. 영구. 〔동의어〕永久; 후궁; 내전에 거처하는 후비나 그 시중을 드는 궁녀(宮女) 등의 총칭; 강등. 등급이나 계급이 낮아짐. 또는 낮춤. 〔반의어〕 昇級; 감봉. 〔반의어〕 昇給; 고급. 〔반의어〕 低級. こう-きゅう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고급. 고봉(高俸). 〔반의어〕 薄給; 경구. (야구나 테니스에 쓰는) 딱딱한 공. 〔반의어〕 軟球; 『문어』 강구. 깊이 살펴 연구함; 『문어』 구하여 삼; 「曠日弥久」의 준말
作り
만듦새. 꾸밈새. 구조; 몸집; 화장. 몸단장; 《関西(관서)방언》 생선회. 〔동의어〕刺身; 일부러 꾸밈; 농작물. 작황. 경작함. 〔참고〕 다른 말에 붙어서 복합어를 만들 때는 보통 「づくり」로 탁음(濁音)이 됨; 방. 한자의 오른쪽 부분. ((「利」의 「刂」, 「形」의 「彡」 등)) 〔반의어〕 偏
顔
얼굴. 낯; (얼굴의) 표정. 기색; (비유적으로) 표면; (표상으로서의) 얼굴; (구성원으로서의) 얼굴. 사람. 일동; 면목. 체면; (그 사회에서) 알려진 얼굴. 안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한 얼굴. …하는 듯한 표정
マイホーム
마이 홈. 내 집
1羽のカラスがトコトコとシカに近付いてくると、突然お尻の辺りをつつき始めました。
突然
《副詞는 「~に」의 꼴로도 씀》 돌연. 갑자기. 〔동의어〕突如
辺り
(야구에서) 타격; 맞음. 명중. 적중. 〔반의어〕 外れ; 성공. 히트. 당첨. 〔반의어〕 外れ; 닿는 느낌. 촉감. 감촉. 반응; (낚시에서) 입질; 짚어 봄. 실마리. 단서. 짐작. 추측; (바둑에서) 단수(單手); (과실 등의) 상한 부분; (더위·음식 등으로 인한) 탈. 〔참고〕 보통 「中り」로 씀; …당. …에 대하여. 평균; 근처. 부근. 주위; 〈接尾語적으로 씀〉 대체적인 때·장소·사람을 나타냄. 쯤. 정도
尻
부족. 빠짐. 없음; 《속어》; 궁둥이. 엉덩이. 〔동의어〕尻; (서열의) 꼴찌. 〔동의어〕びり·どんじり. 〔참고〕 1.2.모두 남성이 씀; 의결. 결정; 결; 매듭. 끝; 『불교』 번뇌. 〔동의어〕煩悩
羽
묘; 《속어》 토끼; 『조류』 가마우지; 『불교』 존재하는 것. 생존; 『문어』; 빙 돌아서 멀리 돌아서 감; 사정에 어두움. 오활(迂闊).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토끼. 〔동의어〕うさぎ; 『음악』 생황과 비슷한 죽제(竹製) 관악기. 초기에는 36관(管)이었으나 후에 19관 또는 17관이 됨; 「得る」의 문어; 《고어 助動詞 「む」의 변한말. 현대어에서는 五段活用動詞·形容詞·形容動詞·助動詞 「ます·です·た·たい·ない·だ·ようだ·そうだ」 등의 未然形에 붙음. 그 밖의 動詞 및 助動詞의 未然形에는 「よう」가 붙음》; 말하는 이의 의지를 나타냄. …하자. …겠다. …하려 하다; 상대편에 대한 권유나 완곡한 명령·희망을 나타냄. …하자꾸나. …하여 다오; 객관적인 사태에 대한 짐작 또는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냄. …겠지. …일 것이다; 말하는 이의 짐작이나 상상을 나타냄. …겠지; 의문·질문·반어(反語) 등을 나타냄. …할 것인가. …하랴; 〈「…~とする」의 꼴로〉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임을 나타냄. …하려고 하다. …하려는 참이다; 허용성(許容性)을 나타냄. …일 법하다; 가능성(可能性)을 나타냄. …할 수 있다. …일 수 있다; 가상(假想)을 나타냄. …건. …거나. …든지
始め
처음. 시작. 시초. 〔반의어〕 終わり; 기원. 근원. 발단. 최초. 당초; 처음 부분. 첫머리; (많은 것 중에서) 주가 되는 것. 위시함. 비롯함; 〈接尾語적으로 써서〉 시초. 〔참고〕 시간에 관해서는 보통 「初め」, 일에 관해서는 「始め」를 씀
よく見ると、ふかふかの白い毛を思いっきり、音をたてて引き抜いています。
音
《「大御」가 변한 「おおん」의 준말》 명사에 붙어 존경의 뜻을 곁들임. 〔참고〕 「お」보다 강한 공손·존경의 뜻을 나타내며, 격식을 차려야 하는 경우에 쓰임; 은혜; 《속어》 수컷. 〔동의어〕おす·お. 〔반의어〕 雌; 소리. 〔동의어〕おと; (언어의) 음. 발음; 중국식 발음을 바탕으로 한 한자(漢字)의 음. 자음(字音). 〔반의어〕 訓; 음색; 『문어』 따뜻한 모양. 온화한 모양
毛
성(姓)·관직명·칭호 등에 붙어, 그 일족 또는 성원(成員)임을 나타냄. 가(家). 집안; 털; 체모(體毛); 머리카락. 모발; 우모(羽毛); 양모. 털실; 털같이 생긴 것. 꺼끄러기; (논·밭의) 농작물; 매우 적음의 비유. 털끝; 《고어》 음식. 식사; 《고어》; 식기; 물건을 담는 그릇; 《고어》 정식(正式)이 아님. 또는 일상적임. 평상시. 일상. 〔반의어〕 晴; 기; 기미. 기척. 기운; 병; 성분. 맛. 냄새; 《動詞·形容詞·形容動詞에 붙어》 그 뜻을 강조하거나 ‘어쩐지’ ‘왜 그런지’의 뜻을 곁들임; 《名詞·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런 기미·기척·낌새·느낌 등의 뜻을 나타냄. 〔참고〕 ㉠体言에 붙을 때는 「っけ」가 되는 경우가 많음. ㉡形容詞·形容動詞의 어간에 붙을 때는 흔히 かな로 씀; 괘. 점괘; 《文語助動詞 「けり」의 변한말. 친한 사이의 남성 용어. 過法·完了의 助動詞 「た」, 또는 断定의 助動詞 「だ」의 終止形에 붙어 「たっ~」 「だっ~」의 꼴로 쓰이나, 때로는 「た~」 「だ~」의 꼴로도 씀》; 과거의 일을 영탄적으로 회상하거나 깨닫거나 하는 뜻을 나타냄. …었지; 상대의 생각을 확인하듯 묻거나 동의를 구하는 뜻을 나타냄. …었던가. 〔참고〕 실제로는 경험이 없는, 따라서 회상할 것도 없는 일이라도 회상에 의한 확인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물음이 부드럽게 들림; 보통과 다름. 별남; 뛰어남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白い
희다; 결백하다. 무죄다. しろ·げ 【형용동사】 しろ·さ 【명사】 しろ·み 【명사】 【문어형】 しろ·し {ク 활용}
ふかふか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푹신푹신. 말랑말랑.
シカは毎年、春先になると冬毛が抜け落ちます。
毛
성(姓)·관직명·칭호 등에 붙어, 그 일족 또는 성원(成員)임을 나타냄. 가(家). 집안; 털; 체모(體毛); 머리카락. 모발; 우모(羽毛); 양모. 털실; 털같이 생긴 것. 꺼끄러기; (논·밭의) 농작물; 매우 적음의 비유. 털끝; 《고어》 음식. 식사; 《고어》; 식기; 물건을 담는 그릇; 《고어》 정식(正式)이 아님. 또는 일상적임. 평상시. 일상. 〔반의어〕 晴; 기; 기미. 기척. 기운; 병; 성분. 맛. 냄새; 《動詞·形容詞·形容動詞에 붙어》 그 뜻을 강조하거나 ‘어쩐지’ ‘왜 그런지’의 뜻을 곁들임; 《名詞·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런 기미·기척·낌새·느낌 등의 뜻을 나타냄. 〔참고〕 ㉠体言에 붙을 때는 「っけ」가 되는 경우가 많음. ㉡形容詞·形容動詞의 어간에 붙을 때는 흔히 かな로 씀; 괘. 점괘; 《文語助動詞 「けり」의 변한말. 친한 사이의 남성 용어. 過法·完了의 助動詞 「た」, 또는 断定의 助動詞 「だ」의 終止形에 붙어 「たっ~」 「だっ~」의 꼴로 쓰이나, 때로는 「た~」 「だ~」의 꼴로도 씀》; 과거의 일을 영탄적으로 회상하거나 깨닫거나 하는 뜻을 나타냄. …었지; 상대의 생각을 확인하듯 묻거나 동의를 구하는 뜻을 나타냄. …었던가. 〔참고〕 실제로는 경험이 없는, 따라서 회상할 것도 없는 일이라도 회상에 의한 확인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물음이 부드럽게 들림; 보통과 다름. 별남; 뛰어남
冬
도. 섬; 짐승을 세는 단위. 마리. 두; 《文語 形容詞 「とし」의 連用形 「とく」의 변한말》 아주 이른 시기. 훨씬 이전. 〔동의어〕とっく. 〔참고〕 「~から」 「~に」의 형태로 副詞적으로도 쓰임. 〔참조어〕とうから·とうに; 칼; 도. 칼. 날붙이; 도리에 맞음. 적절함. 합당함; 거기에 직접 해당되는 일. 또는 사람; 등. 등불; 등. 등불; 등불의 수를 세는 말. 개; (야구에서) 투수력. 〔반의어〕 打; 당; 무리. 패거리. 도당; 정치적 단체. 정당; 《고어》 (중세 때에) 무사(武士)들이 결성한 연합체; 당. 정당; 『역사』; 당. 수(隋) 다음의 중국 왕조의 이름; 옛날, 중국 또는 외국의 일컬음; (야구에서) 「盗塁」의 준말; 탑; 『불교』 사리(舍利)를 모시거나 공양을 하거나 영지(靈地)임을 나타내기 위한 높은 구축물;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물. 〔동의어〕タワー; 등급. 계급; 등. 등등. 들. 〔동의어〕など·等々; 순위. 등위; 같음. 동등함; 『문어』 탑. 상탑. 좁고 길다란 평상. 〔동의어〕腰掛 け·寝台; 당. 당분; 당. ((수용액(水溶液)이 단맛을 보이는 탄수화물)); 『식물·식물학』 등. 등나무; 『식물·식물학』 (평지나 머위 등의) 대. 꽃대;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 〔반의어〕 答える; 추궁하다. 〔동의어〕追及する; 〈흔히, 「…罪に~·われる」의 꼴로 씀〉 죄를 추궁하다. 문초하다; 문제 삼다. ((흔히, 否定의 꼴로 씀)) 【가능동사】 と·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찾다. 방문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毎年
⇒ まいねん
春先
초춘(初春). 초봄. 이른봄. 〔동의어〕早春
カラスはその暖かい毛を頂いて“高級マイホーム”を作ろうとしているわけなのですが、それにしても“遠慮”というものが全くありません。
遠慮
원려. 앞일을 헤아리는 깊은 생각; 조심함. 삼감. 사양함; 거리낌. 기탄(忌憚); 물러남; 《歴》 徳川 시대, 무사나 중에게 과하던 형벌. ((문을 걸어 잠그고 바깥 출입을 금했음))
毛
성(姓)·관직명·칭호 등에 붙어, 그 일족 또는 성원(成員)임을 나타냄. 가(家). 집안; 털; 체모(體毛); 머리카락. 모발; 우모(羽毛); 양모. 털실; 털같이 생긴 것. 꺼끄러기; (논·밭의) 농작물; 매우 적음의 비유. 털끝; 《고어》 음식. 식사; 《고어》; 식기; 물건을 담는 그릇; 《고어》 정식(正式)이 아님. 또는 일상적임. 평상시. 일상. 〔반의어〕 晴; 기; 기미. 기척. 기운; 병; 성분. 맛. 냄새; 《動詞·形容詞·形容動詞에 붙어》 그 뜻을 강조하거나 ‘어쩐지’ ‘왜 그런지’의 뜻을 곁들임; 《名詞·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런 기미·기척·낌새·느낌 등의 뜻을 나타냄. 〔참고〕 ㉠体言에 붙을 때는 「っけ」가 되는 경우가 많음. ㉡形容詞·形容動詞의 어간에 붙을 때는 흔히 かな로 씀; 괘. 점괘; 《文語助動詞 「けり」의 변한말. 친한 사이의 남성 용어. 過法·完了의 助動詞 「た」, 또는 断定의 助動詞 「だ」의 終止形에 붙어 「たっ~」 「だっ~」의 꼴로 쓰이나, 때로는 「た~」 「だ~」의 꼴로도 씀》; 과거의 일을 영탄적으로 회상하거나 깨닫거나 하는 뜻을 나타냄. …었지; 상대의 생각을 확인하듯 묻거나 동의를 구하는 뜻을 나타냄. …었던가. 〔참고〕 실제로는 경험이 없는, 따라서 회상할 것도 없는 일이라도 회상에 의한 확인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물음이 부드럽게 들림; 보통과 다름. 별남; 뛰어남
全く
《「まったし」의 連用形에서》; 〈否定語와 함께 쓰이어〉 전혀; 완전히. 아주. 전적으로; 정말로. 참으로
暖かい
따뜻하다. 따스하다. 훈훈하다. 〔반의어〕 凉しい; 다정하다. 정답다. 다사롭다. 〔반의어〕 冷たい; 〈「ふところが~」 「ふところの~」의 꼴로〉 (주머니가) 두둑하다. 〔반의어〕 寒い; (색깔이) 따스한 느낌이다. 난색(暖色)이다. あたたか·げ 【형용동사】 あたたか·さ 【명사】 あたたか·み 【명사】 【문어형】 あたたか·し {ク 활용}
高級
동업자 등이 협정하여 휴업함. 또는 그 휴일; 『천문』 광구. 빛을 발하고 있는 태양의 표면. 〔참고〕 육안으로 봐서 하얗게 빛나는 부분; 『문어』 호구. 좋은 배필. 특히, 좋은 아내; 호구. (야구 등에서) 치기 좋거나 받기 좋은 공; 『문어』 고구. 깊이 생각하여 연구함; 공구. 학문·기술 등을 끝까지 깊이 연구함; 『문어』 항구. 영구. 〔동의어〕永久; 후궁; 내전에 거처하는 후비나 그 시중을 드는 궁녀(宮女) 등의 총칭; 강등. 등급이나 계급이 낮아짐. 또는 낮춤. 〔반의어〕 昇級; 감봉. 〔반의어〕 昇給; 고급. 〔반의어〕 低級. こう-きゅう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고급. 고봉(高俸). 〔반의어〕 薄給; 경구. (야구나 테니스에 쓰는) 딱딱한 공. 〔반의어〕 軟球; 『문어』 강구. 깊이 살펴 연구함; 『문어』 구하여 삼; 「曠日弥久」의 준말
それにしても
그건 그렇다 하더라도; 일단 끊긴 이야기를 계속할 때 쓰는 말. 그건 그렇고
マイホーム
마이 홈. 내 집
シカの顔色をうかがって「もっと頂いても大丈夫そうだな」と踏んだようです。
大丈夫
『문어』 대장부. 〔동의어〕益荒男. 〔참고〕 「だいじょうぶ」로도 읽음
もっと
더. 더욱. 좀더. 한층. 〔동의어〕一層
顔色
안색. 〔동의어〕がんしょく; 얼굴빛. 혈색; 표정. 눈치
そのしつこさにシカはついに逃げ出してしまいました。
しまい
끝. 마지막; 끝냄. 마침; 끝장; 품절. 매진. 〔동의어〕売り切れ; (能楽에서) 주역이 가면이나 정식 의상을 갖추지 않고, 반주도 없이 노래만으로 혼자 추는 약식 춤; 자매; (여자의) 언니와 동생. 여자 형제; 〈흔히 다른 말의 앞에 붙어〉 같은 계통의 2개의 것
ついに
마침내. 드디어. 결국. 〔동의어〕とうとう; 〈흔히, 否定의 말이 딸리어〉 끝끝내. 끝까지. 종내. 아직. 한 번도. 〔동의어〕いまだかつて
ひと仕事終えたカラスは“収穫”した毛の束をほぐし、くちばしいっぱいにくわえて飛び立つ…。
いっぱい
일배. 한 잔. 한 그릇; 가볍게 술을 마심. 한잔함; (오징어·문어·게 등의) 한 마리; (배) 한 척; 가득하다. 가득 차다. 가득; 〈名詞에 붙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한정된 범위의 한계점에 이르는 모양. …껏. 빠듯이; 일패
毛
성(姓)·관직명·칭호 등에 붙어, 그 일족 또는 성원(成員)임을 나타냄. 가(家). 집안; 털; 체모(體毛); 머리카락. 모발; 우모(羽毛); 양모. 털실; 털같이 생긴 것. 꺼끄러기; (논·밭의) 농작물; 매우 적음의 비유. 털끝; 《고어》 음식. 식사; 《고어》; 식기; 물건을 담는 그릇; 《고어》 정식(正式)이 아님. 또는 일상적임. 평상시. 일상. 〔반의어〕 晴; 기; 기미. 기척. 기운; 병; 성분. 맛. 냄새; 《動詞·形容詞·形容動詞에 붙어》 그 뜻을 강조하거나 ‘어쩐지’ ‘왜 그런지’의 뜻을 곁들임; 《名詞·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런 기미·기척·낌새·느낌 등의 뜻을 나타냄. 〔참고〕 ㉠体言에 붙을 때는 「っけ」가 되는 경우가 많음. ㉡形容詞·形容動詞의 어간에 붙을 때는 흔히 かな로 씀; 괘. 점괘; 《文語助動詞 「けり」의 변한말. 친한 사이의 남성 용어. 過法·完了의 助動詞 「た」, 또는 断定의 助動詞 「だ」의 終止形에 붙어 「たっ~」 「だっ~」의 꼴로 쓰이나, 때로는 「た~」 「だ~」의 꼴로도 씀》; 과거의 일을 영탄적으로 회상하거나 깨닫거나 하는 뜻을 나타냄. …었지; 상대의 생각을 확인하듯 묻거나 동의를 구하는 뜻을 나타냄. …었던가. 〔참고〕 실제로는 경험이 없는, 따라서 회상할 것도 없는 일이라도 회상에 의한 확인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물음이 부드럽게 들림; 보통과 다름. 별남; 뛰어남
収穫
수확; 추수; 어떤 일을 한 결과로 얻은 것. 〔참고〕 낚시나 사냥의 경우에는 흔히 「収獲」라고 씀; ⇒ 嗅覚
束
다발로 된 물건을 세는 말. 속. 다발. 묶음; 벼 10단의 단위; 화살 길이의 단위.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의 폭을 단위로 함)); 한 벌의 신을 세는 단위. 켤레; 열거한 항목·조목 등을 세는 말; 『문어』 불교에서, 상반되는 두 가지 것이 그대로 동등하며, 차별이 없음을 나타냄. 즉. 곧. 바로. 〔동의어〕すなわち; 측. 한자(漢字)의 사성(四聲)중, 평성(平聲) 이외의 상성(上聲)·거성(去聲)·입성(入聲)에 속하는 운(韻). 측운(仄韻); 『문어』; 자식. 아들. 〔동의어〕むすこ·子息; 이자. 〔동의어〕利息; 『불교』 촉; 5경(境) 또는 6경의 하나. 몸에 닿아 지각되는 것. 곧, 물체; 부정(不淨)
仕事
일; 작업. 업무. 직업; 『물리』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하여 그 상태나 위치가 이동함. 또는 그 변화한 정도
飛び立つ
날아가다. 날아오르다; 〈「~思い」 또는 「~ばかり」의 꼴로〉 뛰어오르다. 작약(雀躍)하다. (기쁨·기대 등으로) 가슴이 설레다. 【가능동사】 とび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かと思いきや、何が不満だったのでしょうか、せっかく集めた毛を捨ててしまい、シカは“つつかれ損”となってしまいました。
毛
성(姓)·관직명·칭호 등에 붙어, 그 일족 또는 성원(成員)임을 나타냄. 가(家). 집안; 털; 체모(體毛); 머리카락. 모발; 우모(羽毛); 양모. 털실; 털같이 생긴 것. 꺼끄러기; (논·밭의) 농작물; 매우 적음의 비유. 털끝; 《고어》 음식. 식사; 《고어》; 식기; 물건을 담는 그릇; 《고어》 정식(正式)이 아님. 또는 일상적임. 평상시. 일상. 〔반의어〕 晴; 기; 기미. 기척. 기운; 병; 성분. 맛. 냄새; 《動詞·形容詞·形容動詞에 붙어》 그 뜻을 강조하거나 ‘어쩐지’ ‘왜 그런지’의 뜻을 곁들임; 《名詞·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런 기미·기척·낌새·느낌 등의 뜻을 나타냄. 〔참고〕 ㉠体言에 붙을 때는 「っけ」가 되는 경우가 많음. ㉡形容詞·形容動詞의 어간에 붙을 때는 흔히 かな로 씀; 괘. 점괘; 《文語助動詞 「けり」의 변한말. 친한 사이의 남성 용어. 過法·完了의 助動詞 「た」, 또는 断定의 助動詞 「だ」의 終止形에 붙어 「たっ~」 「だっ~」의 꼴로 쓰이나, 때로는 「た~」 「だ~」의 꼴로도 씀》; 과거의 일을 영탄적으로 회상하거나 깨닫거나 하는 뜻을 나타냄. …었지; 상대의 생각을 확인하듯 묻거나 동의를 구하는 뜻을 나타냄. …었던가. 〔참고〕 실제로는 경험이 없는, 따라서 회상할 것도 없는 일이라도 회상에 의한 확인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물음이 부드럽게 들림; 보통과 다름. 별남; 뛰어남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不満
불만. ふ-まんげ 【형용동사】 {문어·ナリ 활용 }
しまい
끝. 마지막; 끝냄. 마침; 끝장; 품절. 매진. 〔동의어〕売り切れ; (能楽에서) 주역이 가면이나 정식 의상을 갖추지 않고, 반주도 없이 노래만으로 혼자 추는 약식 춤; 자매; (여자의) 언니와 동생. 여자 형제; 〈흔히 다른 말의 앞에 붙어〉 같은 계통의 2개의 것
損
중국 고대의 주기(酒器). ((제사 때 썼음)); 부처를 나타내는 말에 붙는 높임말; 촌. 마을. 지방 공공 단체로서의 최소 단위. 〔동의어〕むら; 손. 팔괘(八卦)의 하나. ((☴의 꼴로 나타냄)); 손. 〔반의어〕 得; 손해; 소득이 없음. 성과가 없음. {문어·ナリ 활용 }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Easy Japanese 13 - New Year's resolutions
Easy Japanese 13 - New闘犬と普通のイヌ
花唄
都内再び200人上回る“4連休も対策徹底を”呼びかけ(2020年9月19日)
新型コロナ 都内で新たに124人 累計3万人超える(2020年10月25日)
きょうから改正少年法施行 18、19歳で実名報道も(2022年4月1日)
「あ、見られた…」!? カーテン開けたら“真顔”ハムスター(2022年12月8日)
巣ごもり需要で人気 トランポリン事故にご注意を(2020年12月9日)
Learn the Top 15 Japanese Questions You Should Know
Learn the Top 15 Japaneあなたは先生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
Copyright © 2018 Todaii Japanese
Design by EUP | Privacy policy | Terms of use | Refund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