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のところの暖かい天気で、鳥たちも気持ちが良いのかシャワータイムを楽しんでいます。
Here sparrows are busy digging sand! Sparrows like "sand baths" (23/03/11)
173 viewこのところの暖かい天気で、鳥たちも気持ちが良いのかシャワータイムを楽しんでいます。
秋田市にある診療所の庭で、木の根元に群がるスズメたち。
よく見ると、砂地にちょうど自分の体にフィットした大きさの穴を掘って中に入っています。
まるで産んだ卵を温めているかのような様子です。
一方、2羽は競い合うように砂ぼこりを巻き上げています。
専門家によりますと、これは「砂浴び」という行動で、主に晴れた日や暖かい日に、体や羽に付いたダニやシラミなどを砂で落とすそうです。
いわば、スズメたちのシャワータイムなのです。
この庭の砂は造園業者が持ち込んだもので、そのさらさらとした質感をスズメたちは気に入って、たくさん集まってきたのではないかと専門家は話しています。
このところの暖かい天気で、鳥たちも気持ちが良いのかシャワータイムを楽しんでいます。
気持ち
기분. 감정. 심정. 마음. 의사; 몸의 상태. 느낌; 마음의 표현; 〈副詞적으로〉 조금. 약간만
暖かい
따뜻하다. 따스하다. 훈훈하다. 〔반의어〕 凉しい; 다정하다. 정답다. 다사롭다. 〔반의어〕 冷たい; 〈「ふところが~」 「ふところの~」의 꼴로〉 (주머니가) 두둑하다. 〔반의어〕 寒い; (색깔이) 따스한 느낌이다. 난색(暖色)이다. あたたか·げ 【형용동사】 あたたか·さ 【명사】 あたたか·み 【명사】 【문어형】 あたたか·し {ク 활용}
良い
『문어』; 말함. 말; 〈「…の~」의 꼴로〉 …에 대한 표현. …이라는 뜻[의미]. 까닭; 《고어》 밥. 〔동의어〕飯·御飯; 예예. ((승낙의 대답)) 〔동의어〕はい; 『문어』 고분고분 따름. {문어·タリ 활용}; 《「良い」 보다 부드러운 표현. 보통은 終止形·連体形으로만 씀》; 좋다; (반어적으로) ‘나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의의함. 헤어지기가 서운함. 연모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怡然). 기뻐하고 즐거워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쉬움. 용이함. {문어·タリ 활용}
シャワー
샤워. 샤워 장치
天気
『기상』 날씨. 일기. 천기. 〔동의어〕空もよう; 좋은 날씨. 갠 날. 쾌청한 날씨. 〔동의어〕晴天; 『문어』 천자의 심기. 〔동의어〕天機3.; 『문어』 천기; 천지 조화의 비밀. (비유적으로) 중대한 비밀; 천부의 재능. 천성; 천자의 기분; 전기. 옮겨 적음; 병이 진행하여 어떤 상태에 이름; 전기. 전환기. 계기
鳥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タイム
『식물·식물학』 타임. 유럽 원산의 백리향(百里香)의 일종. ((잎은 향신료로 쓰임)); 타임; 시간. 시각; 『음악』 박자; (경주 등에서) 소요 시간
秋田市にある診療所の庭で、木の根元に群がるスズメたち。
市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診療
신사(神社)에 딸린 토지; 진료; 『문어』 신량. 초가을의 서늘한 기운. 〔참고〕 편지의 서두나 인사말 등에 흔히 씀
木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所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庭
저. 낮음. 〔반의어〕 高; ‘황제’ ‘천황’의 뜻을 나타냄; 《人名 뒤에 붙어》 저택; 『문어』 정; 십간(十干)의 넷째. 〔동의어〕ひのと; (등급의) 제4위. 네 번째; 「丁抹」의 준말. ((보통 단독으로는 쓰지 않음)); 〈接尾語적으로도 씀〉 겉모양. 모습. 태도. 상태; 겉치레. 허울. 눈비음. 〔동의어〕体裁; 드림. 바침. 〔참고〕 인명이나 증정하는 품명 위에 붙임; 『문어』 아우; 『문어』 바닥. 〔동의어〕そこ; 『문어』 정도. 종류; 『수학』 지수(指數)·대수(對數)의 기준이 되는 수; 『문어』; (뜰안의) 정자. 〔동의어〕あずまや; (집) 주인. 〔동의어〕亭主; 정; 요정·여관 등의 옥호에 붙이는 말; 풍류인의 거실 이름 밑에 붙이는 말; 연예인·문인 등의 호에 붙이는 말; 마당. 뜰; 궁중. 궁정; 『문어』 공경(함). 또는 장유(長幼)·형제간의 정의가 두터움. {문어·ナリ 활용 }; 『문어』 거룻배. 작은 배; 작은 배의 뜻을 나타냄. 정
群がる
떼 지어 모이다. 군집(群集)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根元
근원. 근본
よく見ると、砂地にちょうど自分の体にフィットした大きさの穴を掘って中に入っています。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穴
(뚫린) 구멍. 〔참고〕 흔히 「孔」로 씀; 구덩이. 움푹 들어간 곳; 굴. 동굴. (짐승의) 집; 빈자리. 공백; 결함. 허점. 약점; (금전상의) 결손. 손실. 구멍; (일반에게 알려지지 않은) 이익·소득이 생기는 일 또는 장소. 노다지. 노른자위; (경마·경륜 등에서) 뜻밖의 결과. 예상 외의 승부. 요행수; 《속어》 (여자의) 음부; 《고어》 기뻐하거나 놀라거나 슬퍼하거나 할 때 내는 소리. 아아. 오오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体
몸; 신체. 체력. 체구; 생리적 존재로서의 몸. 육체; (어떤 처지에 있는) 몸. ((다소 예스러운 말)); 건강 상태. 체력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ちょうど
『문어』 궁시(弓矢). 활과 화살; 수량·크기·시각 등이 기준·목적에 합치되는 모양. 꼭. 정확히. 〔동의어〕きっちり·ぴったり·きっかり; 예상·기대·목적에 합치하는 모양. 마침. 알맞게. 꼭. 〔동의어〕折よく·具合よく·都合よく; 꼭 닮은 모양. 마치. 흡사. 꼭. 〔동의어〕まるで·さながら; 방금. 바로. 막.〔동의어〕まさに·たった今
フィット
피트. 몸에 꼭 맞음. 몸에 딱 어울림
砂地
모래땅. 〔동의어〕すなち.
まるで産んだ卵を温めているかのような様子です。
まるで
〈否定語가 따름〉 전혀. 전연. 〔동의어〕全く·全然; 마치. 꼭. 흡사. 〔동의어〕ちょうど·さながら
様子
《「す(子)」는 唐音》; 사물의 상태나 상황. 형편; (사람의) 모습. 옷차림; 징조. 낌새. 기미; 눈치. 기색. 〔동의어〕けはい; 흔적; 특별한 사연·이유
卵
새·어류·벌레 등의 알; 달걀. 〔참고〕 달걀을 쓴 요리에는 「玉子」로도 씀; (비유적으로) 그 방면에서 아직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사람. 올챙이. 병아리
一方、2羽は競い合うように砂ぼこりを巻き上げています。
一方
일방. 한 방향[방면]. 어떤 방면; 한쪽. 〔동의어〕片方; 사물의 한 면[쪽]. 또는 어떤 상태의 반면; 〈副助詞적으로 쓰이어〉 주로 한 방향으로만 치우쳐 있음. 오로지 …뿐임. …만 함; 〈接続助詞적으로 쓰이어〉 …하는 한편; 한편. 다른 한편에서는; 한 방법. 한 수단; 한 번 알림. 간단히 알림. 또는 그 기별
羽
묘; 《속어》 토끼; 『조류』 가마우지; 『불교』 존재하는 것. 생존; 『문어』; 빙 돌아서 멀리 돌아서 감; 사정에 어두움. 오활(迂闊).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토끼. 〔동의어〕うさぎ; 『음악』 생황과 비슷한 죽제(竹製) 관악기. 초기에는 36관(管)이었으나 후에 19관 또는 17관이 됨; 「得る」의 문어; 《고어 助動詞 「む」의 변한말. 현대어에서는 五段活用動詞·形容詞·形容動詞·助動詞 「ます·です·た·たい·ない·だ·ようだ·そうだ」 등의 未然形에 붙음. 그 밖의 動詞 및 助動詞의 未然形에는 「よう」가 붙음》; 말하는 이의 의지를 나타냄. …하자. …겠다. …하려 하다; 상대편에 대한 권유나 완곡한 명령·희망을 나타냄. …하자꾸나. …하여 다오; 객관적인 사태에 대한 짐작 또는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냄. …겠지. …일 것이다; 말하는 이의 짐작이나 상상을 나타냄. …겠지; 의문·질문·반어(反語) 등을 나타냄. …할 것인가. …하랴; 〈「…~とする」의 꼴로〉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임을 나타냄. …하려고 하다. …하려는 참이다; 허용성(許容性)을 나타냄. …일 법하다; 가능성(可能性)을 나타냄. …할 수 있다. …일 수 있다; 가상(假想)을 나타냄. …건. …거나. …든지
専門家によりますと、これは「砂浴び」という行動で、主に晴れた日や暖かい日に、体や羽に付いたダニやシラミなどを砂で落とすそうです。
砂
『러시아어』 모래. 〔동의어〕すな·まさご·すなご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暖かい
따뜻하다. 따스하다. 훈훈하다. 〔반의어〕 凉しい; 다정하다. 정답다. 다사롭다. 〔반의어〕 冷たい; 〈「ふところが~」 「ふところの~」의 꼴로〉 (주머니가) 두둑하다. 〔반의어〕 寒い; (색깔이) 따스한 느낌이다. 난색(暖色)이다. あたたか·げ 【형용동사】 あたたか·さ 【명사】 あたたか·み 【명사】 【문어형】 あたたか·し {ク 활용}
行動
공도; 공로(公路). 〔반의어〕 私道; 행동. 행위; 갱도. 지하에 낸 통로. 특히 광산 등의 갱내의 통로; 효도. 효행; 황도. 천황이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 향을 피우고 그 향기를 즐기기 위한 기예(技藝); 고당; 『문어』 〈「御~」의 꼴로〉 (편지 등에서) 상대방 또는 그의 집에 대한 높임말; 『천문』 황도; 황동. 놋쇠. 〔동의어〕真鍮; 『불교』 절에서, 경전의 강의나 설교를 하기 위한 건물. 강원(講院)
体
몸; 신체. 체력. 체구; 생리적 존재로서의 몸. 육체; (어떤 처지에 있는) 몸. ((다소 예스러운 말)); 건강 상태. 체력
落とす
(위에서 아래로) 떨어뜨리다. 낙하시키다; (달려 있는 것을) 떨다; (실수하여) 놓치다; 내리다. 닫다; 흘리다. 쏟아지게 하다; 깨어 넣다; (빛을) 비추다; (시선 등을) 그쪽으로 보내다[돌리다]. (고개 등을) 떨어뜨리다; 물을 흘러들게 하다; 제거하다. 벗기다. 씻다. 밀다. 깎다; (씌운 귀신을) 떼다. 물리치다; 잃다; (깜빡하고) 빠뜨리다. 빼먹다; 물건 등을 (깜빡하고) 잃다. 분실하다. 잃어버리다; 제외[제거]하다. 빼다. 없애다; 낙방시키다. 낙제시키다; 몰래 달아나게 하다. 도피시키다; 정도가 낮아지게 하다. 낮추다. 저하시키다; 전락시키다. 영락하게 하다; 나쁘게 말하다. 얕보다. 희롱하다; 공격해서 빼앗다. 함락시키다; (상대를) 복종시키다. 설득하다; (유도에서) 기절시키다. 까무러뜨리다; (동물을) 잡다. 죽이다. 도살하다; (落語 등에서) 우스갯소리로 이야기의 끝을 마무르다; 기가 죽다. 실망하다; (나쁜 상태에) 빠뜨리다. 뒤집어씌우다; (경매에서) 낙찰하다; 처리하다. 결제하다; (돈을) 쓰다. 뿌리다; (지위 등을) 낮추다. 강등시키다; 자백시키다. 불게 하다; (아이를) 낳다. 또는 낙태하다. 【가능동사】 おと·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家
집. 주택. 〔동의어〕住まい; 가정. 가족. 또는 그 생활 상태. 살림; 자기 집[가정]. 자택. 〔동의어〕我が家; 가계(家系). 집안. 가문. 문벌; 재산. 가산; 기예(技藝)의 세계에서, 그 유파(流派)의 본가(本家). 〔동의어〕家元; 아니오. 아뇨. 〔동의어〕いいえ. 〔참고〕 「いや」 「いいや」 보다 약간 공손한 말
晴れ
(날씨가) 갬. 맑음. 날씨가 좋음. 〔반의어〕 曇り; 〈흔히, 「~の」의 꼴로 씀〉 정식. 공식. 공중(公衆)의 앞. 명예롭고 영광스러움. 〔반의어〕 褻; 〈「~の身」의 꼴로〉 의심이나 혐의가 풀린 몸; 부기; 놀람·감동을 나타내는 말. 아아. 허. 어머나. 〔동의어〕ああ·やれ·まあ
羽
묘; 《속어》 토끼; 『조류』 가마우지; 『불교』 존재하는 것. 생존; 『문어』; 빙 돌아서 멀리 돌아서 감; 사정에 어두움. 오활(迂闊).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토끼. 〔동의어〕うさぎ; 『음악』 생황과 비슷한 죽제(竹製) 관악기. 초기에는 36관(管)이었으나 후에 19관 또는 17관이 됨; 「得る」의 문어; 《고어 助動詞 「む」의 변한말. 현대어에서는 五段活用動詞·形容詞·形容動詞·助動詞 「ます·です·た·たい·ない·だ·ようだ·そうだ」 등의 未然形에 붙음. 그 밖의 動詞 및 助動詞의 未然形에는 「よう」가 붙음》; 말하는 이의 의지를 나타냄. …하자. …겠다. …하려 하다; 상대편에 대한 권유나 완곡한 명령·희망을 나타냄. …하자꾸나. …하여 다오; 객관적인 사태에 대한 짐작 또는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냄. …겠지. …일 것이다; 말하는 이의 짐작이나 상상을 나타냄. …겠지; 의문·질문·반어(反語) 등을 나타냄. …할 것인가. …하랴; 〈「…~とする」의 꼴로〉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임을 나타냄. …하려고 하다. …하려는 참이다; 허용성(許容性)을 나타냄. …일 법하다; 가능성(可能性)을 나타냄. …할 수 있다. …일 수 있다; 가상(假想)을 나타냄. …건. …거나. …든지
主
주인. 가장(家長). 상점의 주인; 茶道에서, 손을 초대한 사람
専門
전문; 오로지 한 가지 일에 종사·연구함. 또는 그 일; 유일한 관심사
いわば、スズメたちのシャワータイムなのです。
シャワー
샤워. 샤워 장치
タイム
『식물·식물학』 타임. 유럽 원산의 백리향(百里香)의 일종. ((잎은 향신료로 쓰임)); 타임; 시간. 시각; 『음악』 박자; (경주 등에서) 소요 시간
この庭の砂は造園業者が持ち込んだもので、そのさらさらとした質感をスズメたちは気に入って、たくさん集まってきたのではないかと専門家は話しています。
砂
『러시아어』 모래. 〔동의어〕すな·まさご·すなご
業者
업자; 상공업 등의 사업을 경영하고 있는 사람; 동업자(同業者)
家
집. 주택. 〔동의어〕住まい; 가정. 가족. 또는 그 생활 상태. 살림; 자기 집[가정]. 자택. 〔동의어〕我が家; 가계(家系). 집안. 가문. 문벌; 재산. 가산; 기예(技藝)의 세계에서, 그 유파(流派)의 본가(本家). 〔동의어〕家元; 아니오. 아뇨. 〔동의어〕いいえ. 〔참고〕 「いや」 「いいや」 보다 약간 공손한 말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庭
저. 낮음. 〔반의어〕 高; ‘황제’ ‘천황’의 뜻을 나타냄; 《人名 뒤에 붙어》 저택; 『문어』 정; 십간(十干)의 넷째. 〔동의어〕ひのと; (등급의) 제4위. 네 번째; 「丁抹」의 준말. ((보통 단독으로는 쓰지 않음)); 〈接尾語적으로도 씀〉 겉모양. 모습. 태도. 상태; 겉치레. 허울. 눈비음. 〔동의어〕体裁; 드림. 바침. 〔참고〕 인명이나 증정하는 품명 위에 붙임; 『문어』 아우; 『문어』 바닥. 〔동의어〕そこ; 『문어』 정도. 종류; 『수학』 지수(指數)·대수(對數)의 기준이 되는 수; 『문어』; (뜰안의) 정자. 〔동의어〕あずまや; (집) 주인. 〔동의어〕亭主; 정; 요정·여관 등의 옥호에 붙이는 말; 풍류인의 거실 이름 밑에 붙이는 말; 연예인·문인 등의 호에 붙이는 말; 마당. 뜰; 궁중. 궁정; 『문어』 공경(함). 또는 장유(長幼)·형제간의 정의가 두터움. {문어·ナリ 활용 }; 『문어』 거룻배. 작은 배; 작은 배의 뜻을 나타냄. 정
専門
전문; 오로지 한 가지 일에 종사·연구함. 또는 그 일; 유일한 관심사
造園
조원. 정원·공원 등을 만듦.; 증원. 인원을 늘려서 도움.
質感
『문어』 질감. 재질의 차이에서 오는 느낌.
約440カ所で装置取り換えへ…架線トラブルの再発防止で JR東日本(2024年1月31日)
「アップル」国内最大規模の直営店 開店前に1500人
「おせち」売れてます 高額商品の売り切れも(2020年12月18日)
C.h.a.o.s.m.y.t.h.
C.h.a.o.s.m.y.t.h.ミスター・グリーディ(食いしん坊くん)
“邦人の退避認める”タリバン、日本メディアに明言(2021年8月24日)
日立 エアコンの国内生産能力を5割に引き上げ(2023年4月26日)
節約は「食費」3人中2人が回答 消費税増税で
今年ならでは・・・変わるお中元 オンライン送料無料も(2021年6月2日)
栃木特産「にっこり梨」の収穫 1kg超えの大玉も(2021年9月29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
Copyright © 2018 Todaii Japanese
Design by EUP | Privacy policy | Terms of use | Refund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