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こ数年、人気が高まっているサウナで、入り方を間違えると事故や体調を崩すことにつながると消費者庁が注意を呼び掛けました。
The number of deaths is also increasing due to "sauna accidents" Consumer Protection Agency issues warning (2024/06/05)
192 viewここ数年、人気が高まっているサウナで、入り方を間違えると事故や体調を崩すことにつながると消費者庁が注意を呼び掛けました。
消費者庁によりますと、公衆浴場の営業許可を受けた民間のサウナ風呂は1563件あり、この2年は増加しています。
サウナ浴に関する事故は今年の4月までで78件、けがをした人は82人、死亡事故は2件ありました。
サウナを利用中にヨガのポーズを取り続けてやけどをしたケースやサウナから出たところ頭がクラクラし、足を滑らせて顔面から転倒し、前歯が抜け落ちたケースなどがあるということです。
消費者庁はサウナに入る際は我慢をするような無理な行為は控えること、また、温度に体を慣らすことに意識するなど注意を呼び掛けています。
ここ数年、人気が高まっているサウナで、入り方を間違えると事故や体調を崩すことにつながると消費者庁が注意を呼び掛けました。
事故
자기. 〔동의어〕自分; 사고
注意
중위; 중정(中正)의 위치; (육·해군의) 중위. 〔반의어〕 大尉·少尉; 주의; 마음을 집중함; (위험·재난을 당하지 않도록) 조심함. 경계함; 귀뜀을 함; 『심리학』 어떤 심적 내용이 의식(意識)에 떠오르고, 여타의 심적 내용이 억제되는 심적 과정
間違える
잘못하다. 틀리게 하다. 〔동의어〕あやまつ; 잘못 알다. 착각을 하다. 〔동의어〕とりちがえる. 【문어형】 まちが·ふ {하2단 활용}
人気
그 지방 일대의 기풍·기질. 〔동의어〕にんき
方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数
수; 수가 많음. 여러 가지; 손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 아래 그림. 〔반의어〕 上図
消費
소비. 〔반의어〕 生産
崩す
무너뜨리다. 허물어뜨리다. 흐트러뜨리다; (정돈된 모양이나 자세를) 흩뜨리다. 어지르다; (글씨를) 흘리다; 돈을 헐다. 잔돈으로 바꾸다; 〈「身を~」의 꼴로〉 타락하다. 몸을 망치다. 【가능동사】 くず·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庁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入り
들어감. 듦; 수입. 〔반의어〕 出; 비용. 비발. 〔참고〕 「要り」로도 씀; 용적(容積). 들이; 들어오는 손의 수. 입장자의 수; 해·달이 짐. 또는 그 시각. 〔반의어〕 出; 어떤 절기의 첫날; 그 고장이나 그 장소에 들어가는 일; 〈흔히 名詞에 붙어〉 속에 들어 있음. 포함되어 있음
体調
체장. (동물의) 몸길이; 몸의 상태. 〔동의어〕コンディション; 퇴청. 〔반의어〕 登庁; 퇴조; 썰물. 간조(干潮). 〔동의어〕引き潮; 세력이 약해짐; 대장
呼び掛け
(能楽에서) 주역인 「シテ」가 무대에 있는 상대역 「ワキ」에게 소리를 지르면서 나오는 등장 형식. 또는 그 첫 謡
サウナ
사우나. 증기탕.
消費者庁によりますと、公衆浴場の営業許可を受けた民間のサウナ風呂は1563件あり、この2年は増加しています。
風呂
목욕. 목욕물. 목욕통; 공중 목욕탕. 〔동의어〕ふろや·銭湯; 갓 칠한 칠기(漆器)를 넣어 말리는 상자; 다도(茶道)에서, 물을 끓이는 데 쓰는 풍로. ((토기·구리·쇠·나무 등으로 되어 있으며, 둥글고 한쪽 귀퉁이에 구멍을 내어 바람이 통하게 하였는데, 5월에서 10월까지 사용함)) 〔동의어〕ふうろ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営業
영업
許可
『문어』 거화. 횃불. 〔동의어〕松明; 허가
消費
소비. 〔반의어〕 生産
増加
『경제』 시가(時價)가 오름에 따라, 재산의 가액(價額)을 증액 수정함; 『문학』 和歌집 분류의 한 가지. 사계(四季)·연가(戀歌)·만가(挽歌)등의 부류에 들지 않는 잡다한 내용의 和歌. 「万葉集」에서는 「相聞」·「挽歌」에 속하지 않은 모든 和歌를 이름. 〔동의어〕ぞう·ぞうのうた; 조화; 조물주; 우주. 자연. 천지 만물; 조화. 종이·천 등으로 만든 꽃. 〔동의어〕造り花. 〔반의어〕 生花; 증가. 〔반의어〕 減少
公衆
구취. 입내; 공중; 「甲斐の国(지금의 山梨현)」의 딴이름; 「甲州たばこ」의 준말; 「日向の国(지금의 宮崎현과 鹿児島현 일부)」의 딴이름; 강습
民間
민간
庁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件
내려감. 〔참고〕 「降り」로도 씀; 수도에서 지방으로 내려감; 「下り列車」의 준말. 1.~4. 〔반의어〕 上り; 문장 중에서 말하고 있는 한 부분. 대목; 전술(前述)한 것. 〔동의어〕くだん; (문장의) 세로로 된 행(行). 줄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受け
받음. 또는 받는 것. ((흔히 다른 말에 붙어 接尾語처럼 쓰임)); (물건을) 받치는 기구; 방어 자세. 수세. 소극적인 자세; 평판. 인기; 승낙. 맡음; ⇒ うえ; 《「請け人」의 준말》 보증. 보증인; 음양도에서, 그 사람의 간지(干支)에 의해 길운(吉運)이 7년간 계속된다는 행운의 나이. 〔반의어〕 無卦
サウナ
사우나. 증기탕.
浴場
욕장.; 목욕탕; 공중 목욕탕.; (여관·기숙사 등의) 욕실.
サウナ浴に関する事故は今年の4月までで78件、けがをした人は82人、死亡事故は2件ありました。
事故
자기. 〔동의어〕自分; 사고
死亡
『식물·식물학』 자방. 씨방; 『문어』 사망. 사방을 둘러 봄. 사방의 전망; 사망. 죽음. 〔반의어〕 出生; 지망; 지방. 굳기름. 〔동의어〕脂; 『문어』 자망. 가문과 덕망. 신분과 명망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件
내려감. 〔참고〕 「降り」로도 씀; 수도에서 지방으로 내려감; 「下り列車」의 준말. 1.~4. 〔반의어〕 上り; 문장 중에서 말하고 있는 한 부분. 대목; 전술(前述)한 것. 〔동의어〕くだん; (문장의) 세로로 된 행(行). 줄
今年
올해. 금년. 〔동의어〕こんねん·本年
サウナ
사우나. 증기탕.
浴
욕심. 욕망. 〔동의어〕欲望.; 〈接尾語적으로도 씀〉 욕.; (새·비행기 등의) 날개. 〔동의어〕つばさ·はね.; 본대(本隊) 좌우의 부대.; (특정한 연·월·일 등의) 다음의.; 《形容詞 「よし」 「よい」의 連用形에서》; 충분히. 자세히. 〔동의어〕くわしく.; 칭찬이나 감사의 뜻을 나타냄. 용하게. 기특하게.; 훌륭하게. 〔동의어〕うまく.; 〈反語적으로〉 뻔뻔스럽게. 어쩌면 그렇게. 잘도.; 곧잘. 종종. 걸핏하면. 흔히. 〔동의어〕しばしば·いつも.; 매우. 아주.
サウナを利用中にヨガのポーズを取り続けてやけどをしたケースやサウナから出たところ頭がクラクラし、足を滑らせて顔面から転倒し、前歯が抜け落ちたケースなどがあるということです。
利用
속요. 민요; 이용. 이발과 미용; 이용; 쓸모 있게 씀. 이롭게 씀; 자기의 이익을 위해 편의적인 수단으로서 씀
ケース
케이스; 상자. 갑. 용기; (영문법에서) 격(格)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足
『식물·식물학』 갈대. 〔동의어〕よし; 『문어』 나쁘다. 좋지 않다. 〔동의어〕悪い. 〔참고〕 현재는 「よし」와 함께 대구적(對句的)으로 쓰이거나, 하나의 단어화된 파생어나 복합어 안에서 쓰임; 다리. 〔동의어〕下肢. 〔반의어〕手. 〔참고〕 사람에 대해서는 「脚」도 쓰나, 「足」로 많이 씀. 흔히, 포유 동물에 대해서는 「肢」, 곤충은 「脚」로 쓰기도 함; 발. 〔반의어〕手; 발길. 발걸음. 걸음걸이; 〈「その~で」의 꼴로〉 내친걸음에. 그 길로; 방문(訪問). 발걸음; (비·구름·바람 등의) 움직여 가는 상태.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에 붙어 받치는 부분. 다리. 발. 굽.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 밑부분; 교통 기관. 탈것; (범인 등의) 도주로. 발자취. 〔동의어〕足どり; (떡·반죽 등의) 찰기. 끈기. 〔동의어〕ねばり·こし; 한자(漢字)의 구성을 아래위로 가를 때의 아래쪽 부분.((「烈」의 「灬(불화발)」, 「盒」의 「皿(그릇명)」 등)); 〈앞에 「お」가 붙어〉 돈.((다리가 있는 듯 잘 돌아다니므로)) 〔동의어〕お金
頭
머리. 두부(頭部). 〔동의어〕かしら·こうべ; 두뇌. 지능. 사고력. 생각; 머리카락. 머리털. 〔동의어〕髪の毛; 머릿수. 인원수. …당(當). 〔동의어〕頭数; 우두머리. 두령. 두목. 〔동의어〕かしら; (물건의) 꼭대기. 대가리; 처음. 시작. 선두; (이익금이나 건네주는 돈 등의) 몫. 일부. 구전. 구문. 〔동의어〕上前; 대인(對人) 자세; 《「ひとり」의 뒤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사람을 단위로 함을 나타냄. 〔동의어〕あたり
前歯
전시; 시 전체; 모든 시; 『문어』 전체 모습. 〔동의어〕全容; 전지; 제지 공장에서 규격대로 자른 큰 용지; (한 신문의) 지면 전체; 모든 신문; 전사; 한 시대의 역사를 형성하는 원인이 된 그 이전의 역사; 선사. 〔동의어〕先史; 전지. (동물의) 앞다리. 〔동의어〕前あし. 〔반의어〕 後肢; 전시. 곤충의 4개 날개 중 앞쪽의 1쌍. 〔반의어〕 後翅; 전치. 앞니. 〔동의어〕まえば
出
『문어』 그 곳·그 집안에서 태어남. 출신. 〔동의어〕で·出身
ポーズ
포즈; 녹음·녹화 테이프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키는 일; 포즈; (그림·사진·무용·연극 등에서) 인물의 자세. 모양. 〔동의어〕姿勢; 젠체하는 태도. 자세. 허세. 겉치레. 〔동의어〕見せかけ
転倒
천도; 〈「お~さま」의 꼴로〉 태양. 해. 〔동의어〕お日様; 『문어』 점두. 가게 앞. 〔동의어〕店先; 점등. 〔반의어〕 消灯; 『문어』 점두. 고개를 끄덕임. 수긍함; 전도; 넘어짐. 쓰러짐. 넘어뜨림; 거꾸로 됨. 거꾸로 함. 뒤집힘. 뒤집음; 당황함. 기겁함. 〔동의어〕動転; 『문어』 행하(行下). 팁. 〔동의어〕祝儀·はな. 〔참고〕 「てんどう」라고도 함
顔面
안면. 얼굴. 낯
サウナ
사우나. 증기탕.
消費者庁はサウナに入る際は我慢をするような無理な行為は控えること、また、温度に体を慣らすことに意識するなど注意を呼び掛けています。
注意
중위; 중정(中正)의 위치; (육·해군의) 중위. 〔반의어〕 大尉·少尉; 주의; 마음을 집중함; (위험·재난을 당하지 않도록) 조심함. 경계함; 귀뜀을 함; 『심리학』 어떤 심적 내용이 의식(意識)에 떠오르고, 여타의 심적 내용이 억제되는 심적 과정
無理
무리; 억지.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몽리. 꿈속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意識
의식; 위식; 일정한 규정·관습에서 벗어남; 격식[양식]에 어긋남
温度
여러 사람이 노래에 맞추어 춤을 춤. 또는 그 춤이나 곡; (많은 사람이 같은 노래를 부를 때) 선창하는 일. 또는 그 선창자; (변하여) 무슨 일을 할 때 앞장서서 이끌어 감. 또는 그런 사람; 아악(雅樂)에서, 관악기를 불기 시작하는 사람. 〔동의어〕おんどう. 2.3.〔동의어〕音頭取り; 『물리』 온도
我慢
참음. 견딤. 인내. 〔동의어〕辛抱; 용서함. 봐줌; 고집. 억지를 부림. ((예스러운 말)) 〔동의어〕強情
際
가장자리. 옆. 가. 곁; 때. 경우; 《고어》 재능; 『문어』 기화. 기담(奇談)
消費
소비. 〔반의어〕 生産
体
몸; 신체. 체력. 체구; 생리적 존재로서의 몸. 육체; (어떤 처지에 있는) 몸. ((다소 예스러운 말)); 건강 상태. 체력
庁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入る
들어가다. 들다. 〔동의어〕はいる. 〔반의어〕 出る; (어떤 경지에) 이르다; (해·별·달이) 지다; (어떤 환경에) 몸두다; (차차 변하여) 어떤 상태에 이르다. 〔참고〕 현재는 보통 단독으로는 「はいる」가 쓰이고 「いる」는 「気に入る」「堂に入る」등 관용적인 표현에 쓰이는 것이 보통임; 「入れる」의 문어; 필요하다. 들다. 소용되다. 〔참고〕 「入る」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볶다; (달걀·두부 등을) 지지다. 【가능동사】 い·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사람이나 동물이) 있다. 존재하다. 〔참고〕 옛날에는 물건에 대해서도 썼음; 근무하다; 앉다; 《고어》 (안개·구름 등이) 가만히 있다. 머물러 있다. {문어·하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동작·상태가 계속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나타냄; 동작·작용의 반복을 나타냄; 현재의 상태를 나타냄; 과거에 있었던 동작·경험 등을 나타냄. 〔참고〕 「…ている」 「…ています」 「…ていた」는 상용어(常用語)에서 흔히 「…てる」 「…てます」 「…てた」의 꼴로 씀.{문어·하1단 활용}; 쏘다; (쏘아서) 맞히다; 쏘아보다; (자기 것을 만들려고) 노리다. 노려서 차지하다; (빛이 강렬하게) 비추다. 〔참고〕 근세 후기 부터 「矢を射った」와 같이 5[4]段으로 활용되는 예를 볼 수 있음. {문어·상1단 활용}; 주조하다. (거푸집에) 부어 만들다. 지어 붓다. {문어·상1단 활용}
行為
호의. 호감. 〔반의어〕 悪意; 행위; (어떤 목적을 지닌) 개인적인 행동; 『법률』 권리의 득실·변경 등의 원인이 되는 의사적(意思的) 행위; 공위. 공격하여 포위함; 《고어》 옛날, 황실 내전(內殿)에서 「女御」 다음가는 여관(女官); 후의. 〔참고〕 「好意」보다 상대를 생각하는 마음이 한층 깊음; 『문어』 때묻은 옷; 황위. 천황의 자리; 천황의 위광(威光); 교의. 학교의. 〔동의어〕学校医; 교위; 律令 제도에서, 군대에 두었던 벼슬 이름; 문장이 같고 다름을 비교하여 교정하는 일; 고위. 높은 지위. 또는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 〔반의어〕 低位; 『천문』 황위. 〔동의어〕おうい. 황도(黃道)에서 천체에 이르는 각거리(角距離). 〔반의어〕 黄経
控える
대기하다. 기다리다; (명령 등을 기다리며) 곁에서 대기하다; (앞쪽에) 가로놓이다. 【문어형】 ひか·ふ {하2단 활용}; 말리다. 붙잡다. 억제하다; 삼가다. 줄이다. 제한하다; (하려던 일을) 그만두다. 보류하다. 〔동의어〕見合わせる; (시간·공간적으로) 바로 가까이에 있다. 가까이에 …이 있다; (일본식 나무배에서) 노를 저어 뱃머리를 왼쪽으로 틀다. 〔반의어〕 押さえる. 【문어형】 ひか·ふ {하2단 활용}
呼び掛け
(能楽에서) 주역인 「シテ」가 무대에 있는 상대역 「ワキ」에게 소리를 지르면서 나오는 등장 형식. 또는 그 첫 謡
慣らす
(열매를) 맺게 하다. 열리게 하다. 결실시키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르다. 고르게 하다; 평준화하다. 평균하다. 〔참고〕 「平す」로도 씀. 【가능동사】 なら·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동물 등을) 길들이다. 〔동의어〕手なずける; (환경에) 익숙하도록 하다. 순응시키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소리를 내다. 울리다; (평판·명성 등을) 떨치다. 날리다; 강하게 주장하다. 책망하다. 투덜대다. 〔동의어〕言い立てる. 【가능동사】 なら·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サウナ
사우나. 증기탕.
映画『羊と鋼の森』予告
and I...
and I...被災地に歯科医師派遣へ 口腔ケアで感染症対策(2024年1月15日)
アップル ChatGPT使用のアプリを却下「子どもに不適切な表現の恐れ」(2023年3月3日)
ボイスコントロール 機能紹介ムービー
酒税改正前に「RTD」の新商品発表 税率変更の影響も受けず需要拡大(2023年9月23日)
ご機嫌サヨナラ
米軍オスプレイが飛行再開へ 事故原因を特定(2024年3月8日)
石原さとみ、髪をかき乱しガルボをかみしめる CM「ガルボプレミアム 深みカカオ 最高傑作」篇
文科省が教育委員会に通知 入試での影響考慮求める(20/05/14)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
Copyright © 2018 Todaii Japanese
Design by EUP | Privacy policy | Terms of use | Refund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