昔、摂津国能勢(のせ)一帯の山林は天領地(江戸幕府の直轄領)となっており、その麓の村に道越(どうえつ)という医者が娘と二人で暮らしていた。
옛날, 셋츠국 노세 일대의 산림은 천령지에도 막부의 직할령였으며, 그 산기슭의 마을에 도에쓰라는 의사가 딸과 둘이서 살고 있었다.
道越は
村では
名医として
知られ、
能勢の
山々に
入っては
薬草を
採るのが
日課であった。
도코시는 마을에서 명의로 알려져 있으며, 노세의 산속에 들어가 약초를 채취하는 것이 일과였다.
ところがある時、
天領の
杉山の
杉の
木を
盗み
取る
者が
現れた。
어느 날, 천령의 스기야마에서 삼나무를 훔치는 자가 나타났다.
杉山を
預かる
役人は
何とか
盗人を
捕らえようと
見張り
番を
増やしたが
杉の
木は
毎日盗まれていき、
苛立った
役人は
偶然杉山に
入った
道越を
盗人と
見做し
代官所へ
連行して
しまう。
관리인은 스기야마를 맡아 도둑을 잡으려고 감시인을 늘렸지만, 삼나무는 매일 도난당했고, 초조해진 관리인은 우연히 스기야마에 들어온 미치코시를 도둑으로 보고 대관소로 연행해 버렸다.
これを
知った
娘は
代官所に
何度も
父の
無実を
訴えたが、
代官所は
取り
合おうとはせず
娘を
追い
払った。
이 사실을 알게 된 딸은 여러 번 대관소에 아버지의 무고를 호소했지만, 대관소는 이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딸을 쫓아냈다.
そのうち秋が
来て
冬になっても
道越が
帰ってくる
様子はなく、
いつまでも
冷たい
牢に
入れられた
父を
心配した
娘は
神山(こやま)の
観音様へ
三七、
二十一日の
願を
掛けようと
思い
立ち、
素足で
石段を
上っては
父が
身の
証を
立てられるよう
観音様に
毎晩お願いした。
그 사이 가을이 오고 겨울이 되어도 도코시가 돌아올 기미는 없고, 언제까지나 차가운 감옥에 갇힌 아버지를 걱정한 딸은 고야마의 관음님에게 삼칠, 이십일일의 소원을 빌기로 마음먹고, 맨발로 돌계단을 올라가서는 아버지가 몸의 증거를 세울 수 있도록 관음님께 매일 밤 부탁했다.
そして二十一日の
願掛けの
最後の
日、
娘が
満願を
祈りながら
石段の
下まで
来ると
観音堂の
前で
大きな
狼が
娘を
見下ろしていた。
그리고 스물하루째의 소원을 비는 마지막 날, 딸이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기도하며 돌계단 아래로 오자 관음당 앞에서 큰 늑대가 딸을 내려다보고 있었다.
しかし狼よりも
今までの
二十日間が
無駄に
なる事を
恐れた
娘は、
目を
瞑り
観音経を
唱えながら
一段づつ
石段を
上り
始めた。
하지만 늑대보다도 지금까지의 이십일간이 헛되이 될 것을 두려워한 소녀는 눈을 감고 관음경을 외우면서 한 계단씩 돌계단을 오르기 시작했다.
娘は
石段の
数を
知り
尽くしていたので
最後の
一段を
上り
終えた
途端に
目を
開けたが、
そこに
狼の
姿はなく
娘は
観音堂の
前に
立っていた。
딸은 돌계단의 수를 완전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마지막 계단을 올라서자마자 눈을 떴지만, 그곳에는 늑대의 모습은 없었고 딸은 관음당 앞에 서 있었다.
すると向こうの
山から
狼の
遠吠えが
聞こえ、
娘の
手にはいつの
間にか
父に
嵌められていたであろう
枷が
握られていた。
그러자 저쪽 산에서 늑대의 울음소리가 들려왔고, 딸의 손에는 어느새 아버지가 끼워주었을 구속구가 쥐어져 있었다.
この時娘は、
あの狼は
観音様の
化身で
自分の
事を
試したに
違いないと
思い、
娘が
信じていた
通りに
間もなく
本当の
杉盗人が
捕まり
道越は
許された。
이때 딸은, 그 늑대는 관음님의 화신으로 자신을 시험한 것이 틀림없다고 생각했고, 딸이 믿고 있던 대로 곧 진짜 삼나무 도둑이 잡혀 도고에는 용서를 받았다.
迎えに
来た
娘と
道越は
抱き
合って
再会を
喜び、
やがて春が
来て
道越も
体調を
取り
戻すと
二人は
再び
楽しく
暮らせるようになったという。
딸을 마중 나온 도코시와 딸은 포옹하며 재회를 기뻐했고, 마침내 봄이 오고 도코시도 건강을 되찾자 두 사람은 다시 즐겁게 살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